My Missing Aunt 양양
In Progress, Post-Production Stage
Korea|2023(estimated)|80min / 52min(estimated)|Documentary

Logline
In trying to understand my aunt’s decision to take her own life over 40 years ago, I begin to question the place of women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within my own family.
40년 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고모에 대해 우연히 알게 된 나는 고모의 선택을 이해하는 여정 속에서 한국 사회와 가족 안에서 여성의 자리가 어디인지를 묻는다.
Synopsis
I don’t want to become like my aunt. Like her, I was born as the eldest daughter and was put in the role of the ‘good big sister’ by my family. I was used to my younger brother standing in front of me at family gatherings, and I always felt that there was no place for me in this house. The night before I graduated college, in a drunken confession, my dad told me about his sister who committed suicide 40 years ago. It was the first time I had heard about this. Since then I have been afraid her misfortune would be passed on to me. To face this fear deep inside of me, I decided to make a film about my missing aunt. Blending animation and personal archive footage as well as my own journey, I attempt to make visible the part of my family story that has been erased. To question the place of women in Korean society and to find my own place.
나는 고모처럼 될까 봐 두려웠다. 그녀처럼 양 씨 집 안의 첫째 딸로 태어난 나는 이름보다 ‘누나’라는 말이 익숙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남동생이 가족의 중심에 있는 것이 익숙한 만큼, 가족 안에서 나는 내 자리가 없다고 생각해왔다. 대학 졸업을 앞둔 밤, 술에 취한 아빠는 나에게 처음으로 자신에게 누나가 있음을 고백 했고, 나는 40년 전 사라진 고모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1975년, 대학교 4학년이었던 고모는 대학 졸업을 앞두고 왜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을까?
부모님의 집 창고에서 할머니가 남겨 놓은 고모의 사진을 발견한 뒤, 나는 두려움에 맞서기 위해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고모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찾아 떠나는 나의 여정은 실사와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진다. 애니메이션 속에서 나는 지워졌던 고모의 시간을 새롭게 그려내고, 그녀와 대면한다. 그리고 나는 아빠의 트라우마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자살한 여성’이라는 낙인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깨닫는다. 세대를 이어 오는 이 낙인을 끊어내고 새로운 가족의 시간을 만들어갈 수 있을까? 사라진 고모의 자리 뿐만 아니라 가족 안에서 늘 한쪽으로 밀려나 있었던 나의 자리 역시 찾기 위해서.
부모님의 집 창고에서 할머니가 남겨 놓은 고모의 사진을 발견한 뒤, 나는 두려움에 맞서기 위해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고모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찾아 떠나는 나의 여정은 실사와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진다. 애니메이션 속에서 나는 지워졌던 고모의 시간을 새롭게 그려내고, 그녀와 대면한다. 그리고 나는 아빠의 트라우마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자살한 여성’이라는 낙인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깨닫는다. 세대를 이어 오는 이 낙인을 끊어내고 새로운 가족의 시간을 만들어갈 수 있을까? 사라진 고모의 자리 뿐만 아니라 가족 안에서 늘 한쪽으로 밀려나 있었던 나의 자리 역시 찾기 위해서.
Director's statement
When I brought up the story that I had a faceless and nameless aunt I didn’t even know, people often told me similar stories about their aunts. It comforted me that my aunt was not the only one whose life had been erased.
But at the same time, whenever I heard these kinds of secret stories of women, a question came up in my mind why are the tragic protagonists of such family secrets often women in so many cases? Through this film, I want to say that it was not their fault that the tragedy was caused.
Although my aunt died 40 years ago, the discrimination women face simply as beings born as women has not disappeared within patriarchal systems. But my explorations became harder to trace and explain. Discrimination towards women has become a trivial and inconspicuous thing aligned with the word ‘private’, and it has seemingly become a stingy and petty thing to discuss. I want to bring this invisible discrimination to the surface through this film, My Missing Aunt. By recounting the life and death of my aunt, who was forgotten as taboo, I try to break the chain of tragedy.
But at the same time, whenever I heard these kinds of secret stories of women, a question came up in my mind why are the tragic protagonists of such family secrets often women in so many cases? Through this film, I want to say that it was not their fault that the tragedy was caused.
Although my aunt died 40 years ago, the discrimination women face simply as beings born as women has not disappeared within patriarchal systems. But my explorations became harder to trace and explain. Discrimination towards women has become a trivial and inconspicuous thing aligned with the word ‘private’, and it has seemingly become a stingy and petty thing to discuss. I want to bring this invisible discrimination to the surface through this film, My Missing Aunt. By recounting the life and death of my aunt, who was forgotten as taboo, I try to break the chain of tragedy.
나에게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고모가 있었다는 이야기를 꺼내면 상대방도 종종 자신들의 비슷한 고모와 이모의 이야기를 들려주곤 했다. 그동안 세상에 이야기될 수 없었던 존재가 나의 고모뿐 만은 아니었다는 사실은 나에게 작은 위안을 주기도 했다. 동시에 늘 의아한 점이 있었다. 왜 가족의 비밀 이야기 속 비극의 주인공은 많은 경우 여성이어야 했을까? 나는 그 비극의 원인이 그녀들 탓이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었다.
고모가 사라지고 40년이 지난 지금, 여성으로 태어난 존재가 경험하는 차별은 가부장제 안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설명하기 어려워졌을 뿐이다. 차별은 ‘사적’이라는 말로 사소한 일이자 드러나지 않은 일이 되어버렸고, 입에 담기에 쩨쩨하고 치사한 일이 되어 버렸다. <양양>은 그 드러나지 않았던 이야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기획이다. 비운으로만 남겨진 채 잊힌 고모의 삶과 죽음을 다시 이야기함으로써, 나는 비극의 고리를 끊어내려 시도한다.
고모가 사라지고 40년이 지난 지금, 여성으로 태어난 존재가 경험하는 차별은 가부장제 안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설명하기 어려워졌을 뿐이다. 차별은 ‘사적’이라는 말로 사소한 일이자 드러나지 않은 일이 되어버렸고, 입에 담기에 쩨쩨하고 치사한 일이 되어 버렸다. <양양>은 그 드러나지 않았던 이야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기획이다. 비운으로만 남겨진 채 잊힌 고모의 삶과 죽음을 다시 이야기함으로써, 나는 비극의 고리를 끊어내려 시도한다.
Staff
DIRECTOR. 양주연 YANG Juyeon
PRODUCER. 고두현 KO Duhyun, 강사라 KANG Sarah
ANIMATION DIRECTOR. 양홍지 YANG Hong Ji
CINEMATOGRAPHER. 박수환 PARK Swan, 고두현 KO Duhyun
EDITOR. 이진주 LEE Jin Ju, 베로니카 스코티 Veronica Scotti, 고두현 KO Duhyun
COMPOSER. 이민휘 LEE Minwhi



